주제
-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
- #갯벌의 생태계
- #갯벌의 가치
- #갯벌의 자원
- #갯벌
작성: 2024-06-25
작성: 2024-06-25 12:10
갯벌은 밀물과 썰물에 의해 주기적으로 바닷물에 잠기고 노출되는 연안 지역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모래, 진흙, 암석 등 다양한 퇴적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생태계의 보고이자 자연재해를 막아주는 완충지 역할을 합니다.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 등재 서천갯벌
먼저, 갯벌은 해양 생태계의 중요한 구성 요소입니다. 이곳에서는 수많은 생물종들이 서식하며, 이들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균형 잡힌 생태계가 유지됩니다. 대표적인 생물로는 조개, 게, 새우 등의 갑각류와 어류, 조류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생물들은 식량 자원으로서 인간의 식생활에 큰 도움을 주며, 해양 생태계의 건강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다음으로, 갯벌은 자연재해를 막아주는 완충지 역할을 합니다. 갯벌은 홍수나 태풍 등의 자연재해가 발생할 때 물의 흐름을 완화시켜 피해를 최소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또 해안 침식을 막아주고 해수면 상승을 완화 시키는 역할도 합니다.
마지막으로, 갯벌은 관광 자원으로서의 가치도 가지고 있습니다. 아름다운 경관과 다양한 생물종들을 볼 수 있어 많은 관광객들이 찾는 곳이며, 생태 교육과 연구의 장으로도 활용되고 있습니다.
갯벌 생태계는 다양한 구성원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저서동물이란 해저 바닥에서 생활하는 동물들을 말하며, 주로 조개, 게, 새우 등의 갑각류와 연체동물, 환형동물 등이 해당됩니다. 이들은 갯벌 생태계 먹이사슬의 기초를 이루며, 유기물 분해를 통해 갯벌의 건강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염생식물은 소금기가 많은 토양에서 자라는 식물로, 대표적인 종류로는 칠면초, 해홍나물, 퉁퉁마디 등이 있습니다. 이들은 갯벌의 토양을 고정시키고,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기후 변화를 완화시키는 데 기여합니다. 광합성을 통해 산소를 생산하여 주변 생물들의 호흡에 도움을 주기도 합니다.
어류는 저서동물이나 염생식물을 먹이로 삼으며, 조류는 저서동물이나 어류를 먹이로 삼습니다. 이들은 갯벌 생태계의 먹이사슬을 통해 에너지를 순환시키며, 개체수 조절을 통해 생태계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기여합니다.
갯벌에서 해산물을 채취하거나, 관광을 즐기는 등 다양한 활동을 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활동이 과도하게 이루어질 경우, 갯벌 생태계의 균형이 파괴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갯벌은 지구 환경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갯벌은 다양한 경제적 가치를 가지고 있습니다.
갯벌의 보존과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해서는 국제적인 협력과 노력이 필요합니다.
그 일환으로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은 1998년부터 ‘세계 100대 우수 갯벌’을 선정하고 목록을 작성하며, 갯벌의 중요성과 보전가치를 인식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 람사르 협약 역시 습지를 보호하기 위한 국제협약으로, 1971년 이란의 람사르에서 채택되어 1975년에 발효되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170개국이 가입돼 있으며, 한국은 1997년 101번째로 가입했습니다.
한국 정부 역시 습지보전법 제정 (1999),람사르협약 가입(1997), 새만금간척사업 중단 결정(2010)등의 노력을 해왔으며, 2021년 7월에는 서천, 고창, 신안, 보성-순천 갯벌이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되며 갯벌의 가치를 국제적으로 인정받았습니다.
댓글0